Programmer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명 포털 출신 엔지니어 재무설계사 되다. 제 이야기 냐고요? 아닙니다. 제가 아는 분의 이야기입니다. 유명 포털에서만 10년을 개발자로 일하시던 분이 재무 설계사가 되어서 내 앞에 나타나셨더군요. 그 분은 시스템 엔지니어로 경력을 쌓으시던 분이었습니다. 제가 신입 사원으로 포털에 입사하면서 IDC에서 처음 뵙게 되었는데, 그것이 인연이 되어서 친하게 지내던 분이었습니다. 엔지니어로써의 10년 경력을 버리고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 여쭈어보았습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원인은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었습니다. 현재는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지만 이미 40에 가까워진 나이에 엔지니어로 일을 한다는 것 자체가 한국 사회에서는 불안한 일이기 때문이라고 말입니다. 재무 설계사의 일은 개인의 능력 여하에.. 더보기 PM과 주말 근무의 상관관계 IT업계에는 PM(Project manager)이라고 흔히 불리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있죠. 이 사람들은 프로젝트를 이끄는 각 단위 프로젝트의 수장이라고 할수있습니다. 모든 결정권을 쥐고 있고, 일정을 관리하고, 예산을 관리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을 구인하기도 하고 계약직을 더 고용하여 투입하기도 합니다. 이 사람이 얼마나 프로젝트를 잘 이끄느냐에 따라서 프로젝트가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 하기도 합니다. 프로젝트가 SI 프로젝트인 경우는 PM과 갑과의 관계가 얼마나 원활하느냐에 따라서 일이 쉬워지기도 하고 어려워 지기도 합니다. 내부 프로젝트인 경우 PM이 사내에서의 정치력이 뛰어나냐 못하냐에 따라서 일이 성패가 결정 되기도 합니다. 개발자의 입장에서 PM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일정 관리 부.. 더보기 대한민국 개발자의 몸값... 대한민국 개발자의 몸값이라... 라는 글을 읽고 자기전에 몇마디 적습니다. 전자신문 기사를 읽고 쓰신 글인데 SW개발 가치 한국 푸대접 란 기사입니다. 물론, 맞는 말입니다. 한국 개발자들의 퍼포먼스가 뛰어나다는 것은 인정합니다. 개발은 정말 잘하는 것 같습니다. 단, 개발 만 입니다. 제가 아는 많은 분들이 미국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저도, 미국에서 한달 정도 체류하면서 외국 개발자들과 일을 해본 경험도 있고 그외에 출장도 여러번 다녀왔었습니다. 그 경험에 의하면 기타 다른것들은 중국이나 말레이지아, 인도, 파키스탄 개발자들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한국 개발자들은 대체적으로 언어가 안됩니다. 물론 잘 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만, 대체적으로 봤을때 그런것 같습니다. 저도 영어를.. 더보기 엔지니어들이여 미국으로 가라라는 기사를 읽고... 원본글 링크: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711050152 전자신문에 실린 엔지니어들이여 미국으로 가라라는 기사를 보고 마디 적는다. 미국의 평균 엔지니어 연봉이 10만불이상 한국돈으로 1억원 정도라는 EE타임즈의 통계자료를 인용하여 엔지니어에게 미국이 천국인듯이 기사 제목을 뽑았다. 그렇지만 실상 세금과 물가를 고려한다면 실제 연봉은 한국에서 받는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수준이 될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나도 Yahoo에서 일하던 시절 미국서 일하고 있는 한국 엔지니어들과 같이 일을 할 기회가 있어서 그들에게 들은 바로는 연봉이 한국과 비교하여 많이 올라도 비싼 집세 와 세금으로 인하여 한국과 비교하여 생활수준이 그다지 나아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것.. 더보기 성공한 개발자와 행복한 개발자 김창준씨의 글이 IBM developerworks에 올라왔다. 성공한 개발자와 행복한 개발자.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dwclm/20070424/ 성공한 개발자 정의는 무엇일까. 나름대로의 정의는 자신의 product가 시장에서 성공한 경우 일것이다. product의 성공이 꼭 부와 명예를 가져다주지는 못하지만, 시장에서 인정받으면 대부분의 경우는 부와 명예가 같이 따라온다. 행복한 개발자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수 있는 사람일것이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것은 쉬운일 같지만 사실 굉장히 려운 일이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설득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의 아이디어가 받아들여지기도 힘들 뿐더러, 그것이 실제 구현이 된다고 하더라도 예이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