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스마트폰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플의 약간은 불안한 폐쇄전략 - 아이폰 OS 4.0 기능으로 본. 4월 13일에 미국에서 아이폰 OS 4.0이 발표 되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uid=84579 아이폰 OS 4.0 변화 • 새 UI • 멀티태스킹 • 100여 가지 새로운 기능 • 기존 기능 개선(업그레이드) • 빠른 앱스 전환 • 폴더 • 앱스 2,000개 이상 아이폰 내 소유 가능 • 아이북스 지원 • 보안 강화 • 아이폰 라이브(엑스박스 라이브 기능과 비슷) • 아이폰 내 광고 지원 • 아이폰 3GS, 아이팟터치 3세대 완벽 지원 (아이폰 3G와 터치 2세대는 제한 지원-멀티태스킹 불가) 눈에 띄는 기능으로는 멀티 태스킹과 iAds로 불리우는 모바일 광고 기능이네요. 이미 애플은 2010년 1.. 더보기 저무는 피처폰의 시대, 밝아오는 스마트폰의 시대 - 미국 모바일 트래픽 trend Smartphone Traffic is up 193% in a year. from Brainstorm Tech.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internet device로 인터넷을 접속하는 접속량은 점점 증가 추세에 있는 반면, 피처폰 (일반 핸드폰)에서 접속하는 비중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물론 이는 아이폰을 중심으로 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른 현상이죠. 1년에 193%가 증가를 했다면 엄청난 수치입니다. 그 상승세가 가파른 반면 피처폰의 하락률 역시 가파르군요.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를 살펴보면 아이폰이 50% 정도 이고 반면 Windows Mobile 은 겨우 2%에 불과합니다. 국내 가전사들이 안드로이드 폰을 만들수 밖에 없는 속내는 여기에 있는데요. 결국 흐름은 안드로이드 같은 범용 OS가 탑.. 더보기 스마트폰 요금제가 기가막혀 비싼 스마트폰 요금제 "이런 낭비가 있나" 머니 투데이 뉴스 보러가기 스마트폰 보급율이 높아지면서 비싸고 이월도 되지 않는 스마트폰 요금제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실제로 비싼 요금에 비하여 제공되는 데이터 용량의 대부분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이폰 요금제중 가장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하는 라이트나 미디움의 경우 45%와 31%정도 밖에 사용하지 못하고 있고 잔여 용량은 이월 되지 않는 점이 문제인 것으로 보입니다. 남은 용량은 이월해주거나 가격을 낮추고 제공 용량을 낮추는 등의 요금제 세분화가 필요해 보이는데요. 아마도 스마트폰에 관심이 있어도 쉽게 넘어가지 못하는 이유중에 하나가 비싼 요금제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전반적인 요금제 인하가 불가하다면 좀더 합리적인 .. 더보기 KT, 아이폰의 업로드 속도 제한 KT가 아이폰의 데이터 통신 업로드 속도를 64Kbps로 제한을 걸어둔 상태라는 군요. 기사 보러 가기 : 아이폰 속도 느린 이유있었네 KT는 이번 속도 제한이 3G 이동통신망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사용빈도가 덜한 업로드의 속도를 제한하는 대신 사용자들이 많이 쓰는 다운로드에 가용자원을 배분했다는 설명이다. 결국 업로드를 위한 장비 증설을 속도제한으로 막아 보자는 수준 미달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고 밖에는 생각이 안되는군요. 스마트폰이 보급됨에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통신이 더 폭증을 할건데 그건 어떻게 감당을 하려고 이런짓을 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막대한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통신사들이 결국 시설 투자에는 인색하면서 사용자 확보에만 급급한 단면을 보는것 같아서 씁슬합니다. 만일 .. 더보기 SK텔레콤의 한국형 앱스토어(App.Store) 성공할까? SK텔레콤에서 애플의 앱스토어 같은 형식의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오픈 마켓을 오픈한다고 합니다. 일정을 보니 6월중 베타 서비스 9월경에 정식 오픈을 한다고 하니 얼마남지 않았군요. 다들 아시다시피 애플은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에 들어가는 어플리케이션을 자사의 앱스토어를 통하여 판매가 가능한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를 받쳐줄만한 어플리케이션이 풍부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전략을 개방화를 통하여 해결을 한 것인데요. 개방화에 취약한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이 이제서야 움직임을 보이고 있군요. 이 사업의 핵심은 얼마나 많은 개발사 혹은 개발자들이 이 생태계에 참여를 하느냐 입니다. 결국 SDK의 완성도와 수익성의 문제라고 보여지는데요. SDK의 완성도는 얼마나 훌륭한 상업성있는 어플을 구축 할수 있는 SDK.. 더보기 모바일 검색의 헤게모니 싸움 뉴스 출처 :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linkid=11&articleid=2007042700020465934&newssetid=81 이통사로써는 돈이 되는 무선인터넷 시장을 확대하기 위하여 모바일 검색을 안할 이유가 없을것이고, 검색 포털로써는 현재 체 상태에 빠진 유선 인터넷외에 추가적인 수익원인 모바일 검색시장에 눈독을 들일수밖에 없다. 초고속 인터넷 초기 망 사업자가 인터넷 시장에서 헤게모니를 쥐었지만 결국은 변화에 느리게 대응함에 따라서, 포털들에 무릎을 꿇었던 경험을 되살려 주도권을 놓치 않으려고 할것이다. 하지만 유선시장과 달리 모바일 시장쪽은 플랫폼에 좀더 dependent하므로, 이통사의 입김이 크게 작용될 여지가 크다... 더보기 모바일 검색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 모바일 검색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을 정리해본다. 1. 개인화 검색 개인화 검색이 구현되기에 가장 좋은 플랫폼이 모바일 환경인것 같. 모바일 기기 자체가 대체로 1인이 사용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identity를 나타내며 이것은 검색결과의 품질 향상에 충분히 용이 될수 있다. 예를 들자면, 이통사는 법적인 문제만 해결이 된다면, 자신의 위치 좌표를 알수 있으므로, 정확한 POI 검색을 구현가능하고, 모바일 사용자의 개인 profile을 이용하여 좀더 targetting된 검색결과를 보여줄수 있을 것이다. 개인화가 가능한 요소들은 다음과 같을것이다. - before search term - 개인이 설정한 관심정보 - demographics : 30대의 남자들은 주식에 관심이 많더라등의 통계정보 -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