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 서비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이버 메일 , 메일 자동분류가 제대로 안된다! POP3를 지원해서 Naver메일을 초장기 때부터 사용하고 있는데 , 늘 사용하면서 불편하게 느끼는 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스팸 필터링과 메일 자동 분류가 제대로 안된다는 점이다. 중요한 메일을 스팸 메일함에 넣어놔서 상당히 곤욕스럽게 만든 적도 있고, 스팸인것들을 제대로 걸러주지 못해서 문제가 되기도 하고... 그에 비하여 한메일이나 GMail의 스팸 필터링은 상대적으로 잘 걸러주는것 같다고 느껴진다. 스팸 필터링은 스팸을 Detect해주는 로직이 중요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메일 서비스를 시작한 기간이 짧은 네이버가 한메일에 비하여 기능이 떨어질수도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메일 자동분류 기능 마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게 되는 메일 자동분류 기능은 딱히 .. 더보기 Daum의 무개념 전면 광고 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인터넷 첫페이지는 다음(Daum) 입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것은 아니고, 옜날부터 다음이었기 떄문에 그냥 익숙해서 쓰고 있습니다. 물론 제 Firefox와 크롬의 첫페이지는 보통 IGoogle을 사용합니다. IE보다 훨씬 빠르게 돌아가기 떄문입니다. 아무튼, 그 이야기를 할려고 하는 것은 아니고, 출근해서 IE 브라우저를 켜니, 다음 페이지가 뜨고 나서 갑자기 화면이 바뀌네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면 광고 화면이 되어버렸습니다. 왼쪽 중간쯤에 있는 배너를 클릭하니 다시 원래 화면으로 복귀했습니다. 신문으로 치자면 전면광고 정도에 해당하는 파격적인 첫화면 전면 광고를 새로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화면 반정도를 덮는 광고는 전에도 있었지만 이런 광고는 처음 보네요. 첫화면에서 사용.. 더보기 티켓 무비 사태로 본 포털의 블라인드 정책 사회적 악기능 블로그 이전 원인 제공자 "티켓무비" 티스토리에서 운영하던 나의 블로그를 이 개인서버로 옮기게 만든 포스트가 바로 티켓무비는 뭐하는 사이트 인가? 이다. 이 포스트를 포스팅하고 권리침해 신고에 의하여 나의 포스트가 티스토리측에 의하여 블라인드 처리가 되 버린것이다. (이전 블로그 관련 포스트 보기) 거기에 빡이 돌아서 해외 호스팅을 전전하다가 결국 이 개인서버까지 오게 되었다. 티켓 무비 대표 사기 혐의로 입건/ 소비자 보호원의 이용 자제 요청 결국 그 티켓무비 대표가 사기 혐의로 입건 되었다고 한다. MBN 뉴스 보러 가기 소비자 보호원에 티켓무비 관련한 민원이 폭증하고 있다는 뉴스도 들린다. MBC뉴스 보러 가기 YTN뉴스 보러 가기 결국 네티즌들의 의혹대로 이 사이트는 그동안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으.. 더보기 다음 View , 미디어가 되고 싶으면 보여(View)주지만 말고 생각(Thinking)을 해라. 다음의 블로거 뉴스가 다음 View로 새로이 태어났군요. 다음 View 서비스를 보면서 느끼는 점을 좀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다음 View 는 포털이 가지는 미디어적인 기능과 한계에 대하여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네요. 다음 View 서비스 가치는 블로거들의 포스트(글)들을 RSS로 연동하여 인기있는 글을 선별하여 보여준다는 것 외에 다음(포털)이 가지는 미디어적인 목소리를 담아 내는데 주요한 가치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단순한 의견의 전달자에서 미디어로써 한발 더 나아가는 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네이버의 오픈 캐스트와 다음 View는 낙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태까지 그래왔듯이 이번 개편도 단순 전달자에서 머무르는 수준이라고 보여집니다. 미디어로써의 포털이 자리 매김을 하기 위하여서는 자신만의.. 더보기 SK컴즈의 스케치판 복제 사건에 대하여 한마디... SK컴즈가 스케치판이라는 서비스를 표절했냐 안했냐를 두고 설전이 오가는 모양입니다. 스마트 플레이스 http://www.smartplace.kr/blog_post_364.aspx 제닉스의 사고뭉치 http://xenix.egloos.com/1868419 거북 거북 월드 http://ideas.tistory.com/1428496 스케치판( http://sketchpan.com/)은 초창기때부터 서비스가 참신해서 저도 관심있게 보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제 생각에는 그정도의 아이디어는 SK컴즈 내부에서도 충분히 진작부터 논의가 되었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제안받은 시기가 중요한것이 아니라 그 아이디어가 얼마나 독창적이냐가 중요한 쟁점인것 같습니다. 서비스 기획을 할때 "이것도 붙이고 저것도 붙이자"는 아이디어.. 더보기 NHN의 미투데이 인수... 역시 web2.0 벤처의 최대 수익모델은 인수 합병? NHN에서 미투데이를 인수 한다고 발표가 났군요. 역시 web2.0 벤처의 최대 수익모델은 포털로의 M&A 인듯하네요. 테터엔컴퍼니가 구글로 인수 합병이 되었던 것처럼 유망한 web2.0 벤들이 포털로 인수합병이 되는것에 저는 개인적으로 참 안타깝습니다. 독자적인 서비스 생존으로 좀 더 키워보기도 전에 포털로의 인수합병으로 서비스의 큰 방향이나 초기의 서비스 정체성을 잃고 없어지는 서비스들을 많이 봐왔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쿠쿠 박스 같은 좋은 서비스가 NHN에 인수 되었다가 플랜훗이라는 서비스로 변경되었다가 결국은 조용히 시장에서 사라졌었죠. 또한 첫눈 같은 서스도 NHN에 인수되었다가 결국 서비스를 중단 했습니다. SK Communication 인수된 엠파스도 서비스 중단이 될지도 모른다는 소문이.. 더보기 다음 오픈소셜에 참여하기로 하다. 전자신문에 다이 오픈소셜에 참여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떴군요. 포털의 특성상 자사의 도메인안에 오랜 체류시간을 가져야 높은 광고 단가를 유지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런 개방형 서비스에 인색했던것이 그 동안의 현실인데, 다음의 이러한 오픈 소셜에 참여한다는 뉴스는 참 반갑습니다. 비록 구글이 주도하고 있는 오픈소셜이 단순히 Facebook을 견제하기 위한 생색내기라는 의견이 있기는 합니다만, (ZDNet 기사 참조)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개방형 서비스의 움직임은 대세라고 보여집니다. 폐쇄적인 서비스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NHN과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다음의 이러한 시도가 앞으로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조만간 오픈소셜용 다음 카페나 블로그용 서비스들을 런치 한다고 하니 기.. 더보기 SK Communication과 싸이월드의 미래 이글은 SK컴즈의 영업손실 및 싸이월드 아이템 판매실적 감소 에 대한 트랙백입니다. 제목이 매우 거창해졌지만, 간하게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여 보겠다. 넷츠고에서 부터 라이코스 코리아 인수 그리고 네이트로 이어지는 SK컴즈의 서비스는 인수합병의 연속이었다. 싸이월드, 이글스, 엠파스 까지 계속적인 몸집 불리기를 해왔으며 그로인하여 트래픽 규모에서는 상위권으로 뛰어오르게 되었다. 실패라고 평가하는 사람은 많지만 최근 엠파스 인수로 인하여 기존 검색포털 검색 기술에서 경쟁이 가능해 졌으며 장기적인 검색 경쟁에서 다음보다 우위에 섰다고 개인적으로는 판단한다. 실제 SK컴즈의 인프라는 각종 인수합병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혼재해있고 이는 서비스적으로도 한꺼번에 녹여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비록 C2 서비스의 .. 더보기 MS의 Yahoo인수후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MS , Yahoo 인수하기로 잠정합의. MS가 446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잠정 합의되었다고 발표가 되었다. 현재 미국 인터넷 검색시장의 Market Share는 MS는 13.8% 야후는 17.7% , 구글은 56.3%로 MS와 야후를 합쳐도 30%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그렇기 때문에 약간은 비관적인 전망들이 나오는것 같다. 어떤 효과가 나올것인가? 야후는 검색분야와 검색광고 에서 나름대로의 착실한 기술력과 시장점유율,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다. 지난해 런치 Panama 프로젝트로 구글과 거의 유사한 알고리즘을 가진 검색광고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오버추어 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그외의 다른 나라에서는 YSM(Yahoo Search Marketing)이름으로 검색광고 시.. 더보기 Daum 디렉토리 검색 서비스 다음에서 디렉토리 검색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http://directory.search.daum.net/site_list.daum 특이한 것은 분류별 순위 및 각 사이트별 통계 정보를 같이 볼수 있다는 것인데요. 아래의 결과는 프리에그의 상세정입니다. 랭키나, 코리안클릭에 의존하던 통계자료를 무료로 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가지 걱정이 되는 부분은 다음 툴바 사용자들을 통하여 통계자료를 모으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주로 다음 사용자들의 성향이 반영된 결과값이 나올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통계나 데이터 마이닝 부분에서는 네이버보다 한걸음 빠르게 결과물을 내고 있는 다음의 이 디렉토리 검색 서비스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이 됩니다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