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eeze의 생각들

IT 코리아의 잃어버린 2년 - 아시아 경제 기사 IT 코리아의 잃어버린 2년 - 아시아 경제 한국 네트워크 준비지수 15위..2년 연속 ↓- 연합뉴스 현 정부가 출범하면서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를 해체하여 방통위, 지경부, 행안부, 문화 관광부로 토막낸지가 이제 2년이 지났다 . 그 2년에 대한 성적표를 보면 초라하기 그지 없다. 세계경제포럼(WEF)의 네트워크 준비지수(NRI: Network Readiness Index)에서 우리나라의 순위가 2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시장, 정치 및 규제 인프라와 같은 국가 정책과 밀접한 영향을 받는 일반환경 부분에서 17위에서 27위로 하락하고, 교육투자와 이용요금 수준등을 평가하는 준비도에서도 7위에서 21위로 하락하였다. 앞서 유엔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난달 23일 세계 159개 국.. 더보기
정말 무서운 MS의 공짜 소프트웨어 제공 프로그램 인터넷을 보다가 보니 MS에서 DreamSpark 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더군요. 이게 뭐냐면 MS의 개발용 소프트웨어들을 전세계 대학생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 이미지에 나와있는 소프트웨어들을 학생 신분이라는 것만 인증이 되면 모두 무료로 제공하고 매년 학생신분을 갱신하는 구조입니다. 리스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두 어마어마하게 비싼 소프트웨어들이죠. 대학생들은 어차피 정품 소프트웨어를 집에서 구매하여 쓰기에는 구매력이 부족한 계층입니다. 실제로도 많은 대학생들은 어둠의 경로로 구한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하고 있죠. 하지만 그들은 곧 사회로 나가서 정품 소프트웨어 구매자가 될 잠재적인 소비 계층입니다. 이들이 MS의 툴에 익숙해 진다면 앞으로도 계속 MS의 툴을 사용해야 할것이고, 이.. 더보기
아이폰, 유튜브 그리고 자가당착에 빠진 방송통신위원회 아시다시피 유튜브는 한국의 제한적 본인확인제에 반발하여 한국접속자의 경우는 업로드를 막고 있습니다. 국제적 망신살 뻗친 인터넷 실명제 유튜브 코리아 공식 블로그에 올린 글 보러 가기 저희는 평소 저희가 일하는 모든 분야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가 우선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갖는다는 것은 더 많은 선택과, 더 많은 자유와, 궁극적으로 더 많은 힘을 개인에게 준다고 믿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용자들이 원한다면 익명성의 권리는 표현의 자유에 있어 중요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폰에서 유튜브로 바로 동영상을 올릴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 기능이 "제한적본인확인제"를 위반했는지 안했는지가 논의가 되고 있는데요. 방송통신위원회는 그것이 해외에 서버를 둔 글로벌 서비스이기.. 더보기
비리직원 칭찬하는 회사가 있다면? 모 회사가 있습니다. 그 회사에는 돈 잘 벌어오는 한 임원이 있습니다. 회사 매출의 많은 부분을 기여하고 있고, 그 직원은 잘 나가는 집안 출신입니다. 거기까지는 좋은데 그 직원은 회사에서 수많은 비리를 저질렀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그 임원이 비리를 저질렀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사장은 이 직원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돈을 잘 벌어오니 묵인한다. 2. 회사의 기강을 위하여 처벌한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2번이라고 생각을 하실것 같습니다. 회사의 목적은 돈을 버는것이지만, 조직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강을 바로 세우는 일이니까요. 그렇지만 어느 회사에서 1번을 선택했군요. 그 회사의 이름은 대한민국이고, 사장의 이름은 2MB 입니다. 2009년 마지막에 우울한 대한민국의 자화상이군요. 유전무죄.. 더보기
내 블로그에 찌질한 악플 달아놓은 쨔샤님에게 나의 이전 포스트 옴니아2 리뷰를 보고 드는 생각들 , 나는 한국 블로거의 디지털 기기 리뷰를 신뢰하지 않는다. 찌질한 댓글을 달아놓으신 분에게 드리는 글입니다. 58.120.165.187 IP주소를 사용하신 쨔샤님. 원래 이런글에 일일이 대응할만큼 한가한 사람도 아니고, 별로 신경조차 안쓰는 사람이긴 합니다만, 오늘은 한자 남기게 됩니다. 답글로 다는 것보다는 글이 길어질것 같아서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 되네요. 오늘 뉴스를 보다가 보니 이런 기사가 보이더군요. 모회사가 아이폰에 대응하는 알바를 구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구요. 아마도 쨔샤님은 다음과 같은 케이스 중에 한 분일거라고 짐작합니다. 1. 아이폰 대응 알바중 2. 옴니아 제조사에 근무하시는 분. 3. 옴니아를 런칭한 통신사에 근무하시는분 4... 더보기
허술한 IT 강국의 허접한 금융시스템 2009년 7월 8일 오후 2시 14분 현재 신한은행 인터넷 뱅킹을 쓰려고 하는데, 사이트가 안열리는군요. 무슨일인가 뉴스를 좀 찾아보니 DDoS공격으로 인한 금융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DDoS 장비도 무용지물…해결책 마련 '고심' DDoS 공격 하나도 못막으면서 IT시스템 구축에 수억씩 쓰고 있는 한국 IT의 현실이 암담합니다. DDoS공격이 어제 오늘일도 아니고, 늘 있어온 위협이었는데 이제와서 호들갑을 떨고 있네요. 금융결재원 주관으로 이미 구축한 DDoS공격을 막기 위한 시스템이 무용지물이라니 그럼 그건 뭐하러 사신건지?-_-;; 아는 후배가 웹에이젼시에서 PM을 하는데 일년여쯤전에 모 은행의 인터넷 뱅킹 신규구축 프로젝트를 마무리를 했다고 하는군요. 디자인 , 기획은 에이젼시가 개발은 .. 더보기
스팸메일,SMS가 많이 온다면 개인정보 유출을 의심해야 한다?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정보를 바탕으로 온라인 마케팅을 대행해주는 회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요새들어 눈에 띄는것은 온라인 쇼핑몰 중에 이러한 온라인 마케팅 대행을 하는 곳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물건을 파는 것 이외에 새로운 수익모델을 발굴하고 있는 거지요. 회사 입장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방대한 회원 Database를 활용할 방법중에 한가지 이니까요. 그렇지만 회원입장에서는 이러한 온라인 마케팅이 사실 썩 달갑지만은 않습니다. 특히 회원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광고성 메일이나 SMS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스팸 메일과 다름이 없거든요. 아래 이미지는 며칠전 제 메일함으로 날라온 국내 유명 쇼핑몰에서 보낸 광고 메일입니다. 국내 최고의 백화점/홈쇼핑/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 더보기
네이버 오픈 캐스트 역설. 살다보면 참 이해 안되는 것들이 많이 있는데, 그중에 한가지 경우가, 이 서비스는 곧 망하겠군!! 라고 생각하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고 폭발적으로 사용자가 늘어나는 서비스들이 있다. 네이버의 오픈 캐스트가 그 같은 경우다. 한국의 대다수 사용자들은 기본적으로 뭔가 자신이 나서서 편집을 하거나 트랙백을 걸거나 하는 것을 매우 귀찮아 한다. 그런 이유로 네이버 블로그같은 포털의 블로그가 성업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본인이 스킨을 바꾸거나, adsense를 달거나 하는 것들을 하지는 못해도 네이버에서 모든것을 알아서 해주고 심지어 남의 포스트를 통째로 퍼가는 무지막지한 짓도 버튼 한개로 해결 해주지 않는가? 오픈 캐스트를 보다가 보면 참 이해안되는 것이 또한가지 있다. 네이버를 까는데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블로.. 더보기
국제적 망신살 뻗친 인터넷 실명제 구글의 유튜브가 한국에서 인터넷 실명제를 적용 하는지 마는지에 대하여 세계인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겨례 신문은 "구글 1주일째 인터넷 실명제 불복종" 이란 기사에서 이 상황을 자세하게 보도 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지의 보도를 인용하여 한국에서 구글의 "사악해지지 말자"라는 원칙이 시험을 받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실리콘벨리 워처 (http://www.siliconvalleywatcher.com)의 유명 블로거 톰 포렌스키의 글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Google Says It Is Still Examining Korea's Real-Name Verification Law 위의 포스트에서 톰 포렌스키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Google's corporate philos.. 더보기
인터넷 회사들이여 정정당당하게 돈을 벌지어다... 기업의 목적은 이윤을 추구하는데 있습니다. 아무리 인재들이 훌륭하고 회사 분위기가 좋아도 돈을 벌지 못하는 기업은 오래 가지 못하죠. 맞습니다. 회사는 돈을 벌어야 합니다. 단, 한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정정당당하게, 떳떳한 방법으로 돈을 벌어야 합니다. 고객을 속이거나 속인다고 오해받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은 최대한 배제를 하여야 합니다. 아니, 최소한 배제를 하려고 노력을 해야 한다고 저는 믿습니다. 한때 P2P 프로그램으로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던 E-donkey(당나귀) 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많은 사용자를 확보했지만 어느순간 애드웨어를 두세개씩 끼워서 같이 인스톨이 되도록 만들었습니다. 저도 한번 피해를 보고서 OS를 다시 인스톨하고는 그뒤로 다시는 인스톨을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런 이.. 더보기